본문 바로가기
도움되는 정보

지적도 무료 열람 방법 다운로드

by 데이지 Daisy 2023. 12. 9.

 

오늘은 지적도(임야도)를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지적도는 땅의 쓰임도를 확인하는 지도 입니다. 부동산에 투자하기 전 투자하려는 땅이 어떻게 쓰이는지 꼼꼼히 확인해보셔야 혹시 모를 불상사를 예방하실 수 있겠죠?  또 땅은 오랜기간 방치되면 모양과 경계가 바뀔 수도 있기 때문에 지적도를 들고 직접 방문하셔서 확인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지적도란?

 

 

쉽게 이야기 하자면 토지의 모양, 경계선 등을 알기 쉽게 지도로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토지의 소재지와 지번, 지목, 경계선, 축적 등과 가까이한 도로의 폭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가 내 땅이고 어디서부터 남의 땅인지 구분하기 위해서는 지적도를 확인해 보면 되겠습니다.

 

또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선 지적도를 토대로 건축설계를 작성하면 됩니다.

 

지적도 무료열람 하는 법

 

1. 네이버에 '정부24' 를 검색합니다. 간편본인인증이나 로그인을 한 후 아래 메뉴에서 '지적도(임야도)'를 클릭합니다.

 

 

 

2. 그럼 해당 화면이 뜨는데 보시다시피 수수료는 인터넷으로 발급 또는 열람 시 무료입니다. '발급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3. 빨간점이 있는 부분은 필수로 기입해야하는 곳입니다. 모두 기입한 뒤 아래에 "민원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지적도를 무료 열람을 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도 보는 법, 용어

1. 방위 : 지적도의 위쪽이 북쪽입니다.

2. 축적 : 1,200분의 1 축척에서 1cm는 12m에 해당됩니다. 이를 보고 현장의 실제거리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3. 지적 경계선 : 토지의 경계선으로 논일 경우엔 논둑을 경계선으로 봅니다. 

4. 기점 : 토지를 찾는 기준이 되는 곳입니다. 도로나 하천, 근처에 집이 있다면 기점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지적도와 실토지 맞춰보기

 

 

 

 

 

요즘은 어플이나 내비게이션의 성능도 우수하여 지도를 손쉽게 볼 수 있지만 종이 지적도로 확인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적도의 북쪽과 실제의 북쪽이 일치하도록 돌려 놓습니다. 나침반을 지적도 위에 놓고 북쪽을 가르키는 바늘이 지적도의 북쪽을 향해 지적도를 돌려서 맞춰 놓으면 됩니다. 그러면 지적도와 실제 토지의 방향이 일치됩니다. 

 

나침반이 없으면 스마트폰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지적도의 1cm는 실제 토지의 12m입니다. (축척이 1/1,200 일 경우), 임야도의 1cm는 실제 토지의 60m (1/6,000) 것을 감안해 파악하면 됩니다. 도심의 지적도는 축척이 1/600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의 지적도의 1cm = 6m 입니다. 

 

 

 

블로그 인기글

📌 2024 대박나는 띠 TOP3

📌 국민연금, 이거 모르면 손해

📌 오십견 치료하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