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80만명이 넘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해마다 수면장애 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몸이 피곤한데 잠이 오지 않으면 고통스러운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수면장애는 왜 생기는 것이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장애란?
수면장애는 자야할 시간에 정상적으로 잘 수 없는 증상을 말합니다. 한번쯤은 경험이 있을 만큼 흔하기도 하지만 지속적인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만큼 악화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수면은 렘수면과 , 비렘수면으로 나누어 지는데요. 렘수면은 기억을 포함한 지적인 기능들을 회복시키며 잠의 1/4를 차지합니다. 우리가 꿈을 꿀때는 이 렘수면 상태라 보시면 됩니다. 비 렘수면은 우리의 육체를 회복하는 역할을 하며 얕고 깊은 단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수면을 하지 못하는 것이 수면장애라 볼 수 있습니다.
수면 장애의 종류
국제수면장애 분류에 따르면 크게 불면증, 수면호흡장애, 수면과다증, 수면-각성주기의 장애, 사건수면 등의 범주로 구분되고 있고 다시 그 밑으로 세부적인 수면질환이 나누어집니다. 세부적인 수면질환에 따라 원인, 중증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진료를 받아 진단받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불면증
불면증은 잠이 오지 않는 경우, 잠드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 잠들었지만 자주 깨는 경우, 중간에 깨서 다시 자기 어려운 경우, 자고 일어났지만 피곤한 상태를 말합니다. 정서적인 원인으로 인한 불면증이나 호흡곤란, 천식발작 등 질환에 의한 불면증, 그리고 특별한 원인을 알 수없는 불면증이 있습니다.
2. 수면호흡장애
수면 중에 호흡이 멈추거나 호흡이 약해지는 상황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호흡장애가 지속되면 수면의 질이 크게 떨어지고 수면 중 산소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심장이나 뇌쪽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수면-각성 주기 장애
우리몸의 생체리듬과 생활환경이 맞지않아 나타나는 증상으로 자야할 시간에는 잘 수 없고, 깨어야 할 시간에 졸음이 쏟아지는 증상입니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거나, 야간활동, 야간에 빛 노출, 교대근무 등에 의해서 주로 일어나며 현대사회에 맞물리는 질환으로 그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4. 사건수면
사건수면은 잠자는 중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행동을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몽유병이나 가위눌림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야경증, 야뇨증, 하지불안증후군, 악몽 등 여러가지 사건수면이 있지만 각 증상마다 심각성이나 경과는 모두 다르게 나타납니다.
수면 장애 해결법 6가지
1. 낮잠 피하기
낮에 졸음이 와 낮잠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상한지 5시간에서 8시간이 지난 후 아주 짧게만 낮잠을 자는 것이 좋습니다. (10분~15분 내외)
2. 규칙적인 운동
잠들기 전 6시간 전으로만 피해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수면방해물질 기피
카페인은 수면을 방해하는 성분이기 때문에 카페인이 들어있는 커피나, 콜라, 홍차, 초콜릿 등은 가급적 저녁시간에 드시지 않는게 좋습니다. 또 흡연도 마찬가지로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저녁 7시 이후에는 자제하도록 합니다.
4. 수면에 알맞은 환경
시계는 잠자는 곳에서 안보이는 곳에 두고 새벽에 깨더라도 시계는 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침실은 어둡고 조용한 환경을 유지시키고 필요하다면 안대나 귀마개를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5. 잠들기 위해 애쓰지 않기
억지로 잠들기 위해 너무 애쓰기 보다는 오히려 잠이 오지 않으면 단순 작업을 하며 잠이 올 때까지 기다려 보시는게 좋습니다.
6. 영양제 도움 받기
요즘은 수면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니 다른 방법으로도 해결이 되지 않으면 영양제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락티움 효능 주의사항 수면 영양제 추천
수면건강에 도움을 주는 락티움의 효능과 복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수면은 생각보다 우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최근 불안, 우울증, 스트레
honey-mansion.tistory.com
이 외에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시는 분들은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신 뒤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자 효능 먹는 법 주의사항 (0) | 2023.12.14 |
---|---|
기침에 좋은 음식 완화되는 습관 (0) | 2023.12.14 |
겨드랑이 멍울 혹 통증 암일까 (0) | 2023.12.14 |
콜라비란 효능 먹는 법 요리 칼로리 (0) | 2023.12.14 |
치매 전조증상 예방법 주사 (0) | 2023.12.12 |
멍 드는 이유 멍 들었을 때 빨리 빼는 법 (0) | 2023.12.12 |
겨울철 동상 증상 치료 응급처지 방법 (0) | 2023.12.12 |
생들기름 효능 차이 보관법 유통기한 (0) | 2023.12.11 |